로버트 라이시의 자본주의를 구하라
로버트 라이시의 부유한 노예(The Future of Success)는 2000년대 읽은 책 가운데 여전히 나의 최고의 책이다. 나의 경제에 대한 관점은 사실상 부유한 노예를 근간으로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2000년 당시만 하더라도 클린턴 행정부에서 물러난지 얼마 되지 않은,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욱 친정부적인 입장 및 경제에 대한 중립적 위치에 서 있던 로버트 라이시는 특히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더욱 선명하게 본인의 주장을 내놓는다.이제는 한국의 입장에서는 좌파 경제학자 아니냐 싶을 정도로 선명하게 행동하라는 이념을 가감없이 전파하고 있다. 모두를 위한 불평등이라는 영화까지 만들고 출연할 정도이니, 이 노학자는 이제 행동을 자신의 생의 마지막 부분의 전부로 생각하는 듯 하다.나이가 들면 들수록 더욱 완고하고 보수적이고, 퇴행적이기까지 한 사고방식에 갇혀 가는 한국의 기성세대를 보는 입장에서는 참으로 신선한 행동을 하는 인물이다. 이 제목 자체가 마치 공산당 선언처럼 그의 이론의 정수를 모두 집약했다고 볼 수 있다, 로버트 라이시의 주장에 공감하는 이건 공감하지 않는 이건, 그의 책은 경제에 대한 관점에 있어서 분명 새로운 영감을 읽는 이들에게 불러일으킨다. 그 공병호씨도 로버트 라이시의 주장에 동의하는 문제 이전에 책의 이념, 관점 자체에 대해서는 찬사를 아끼지 않았으니...갈수록 심해지는 불평등, 중산층의 위기에 대해서 어떻게 해야 할 지에 대한 길을 찾고 싶은 이들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부유한 노예 슈퍼자본주의 , 세계적인 경제사상가 로버트 라이시의 최신작!시장과 국가를 둘러싼 논쟁과 통념을 깨는 문제작상위 1%의 독주를 멈추게 하고 갑질하는 자본주의를 구출하라2016년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버니 샌더스를 지지하며 샌더스 열풍을 주도한 저자는 이번에 출간한 신작 로버트 라이시의 자본주의를 구하라Saving Capitalism 에서 이른바 ‘경제 내셔널리즘’이 발생하는 근본원인은 직업 안정성이 축소되고 불평등이 확대되는 동시에 임금이 제자리걸음을 하거나 줄어들기 때문이며, 그 중심에는 경제와 정부를 장악하는 비중을 점점 더 확대하고 있는 대기업, 거대 은행, 부자들이 자리 잡고 있다고 지적한다. 부와 소득을 독점한 상위 1%와 이러한 현상들이 서로 어떤 관계가 있고 무엇을 예고하는지 비교 분석하고, 자본주의 사회가 직면한 중요한 선택 사항들을 자세하게 살펴보았다.지금까지 대기업 임원, 대기업 소속 변호사와 로비스트, 월스트리트 종사자와 그들의 정치 하수인, 수많은 부자를 비롯해 ‘자유 시장’ 개념을 목청껏 지지하는 세력은 자신의 이익을 최대한 확대하려고 시장을 적극적으로 재조직해왔고 해당 주제가 집중조명 받지 않기를 바란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지난 80년 동안 중산층이 축소되고 빈부 격차가 크게 벌어져온 과정을 참신하고 설득력 있게 분석해 대기업, 거대 은행, 부자들에 의해 정치와 경제 체제가 부패하고, 정치권과 이들 사이에서 작동하는 회전문 때문에 거짓이 조장되고 있음을 조목조목 밝혀낸다.
로버트 라이시의 자본주의를 구하라
한국어판 서문
서론
1부 자유 시장, 시장을 둘러싼 오랜 논쟁과 통념
1장 사회의 지배적 견해
2장 자본주의를 구축하는 다섯 가지 구성요소
3장 자유와 힘
4장 새 재산
5장 새 독점
6장 새 계약
7장 새 파산법
8장 시행 메커니즘
9장 요약: 전체로서 시장 메커니즘
2부 일과 가치, 왜 어떤 사람은 부유하고 어떤 사람은 빈곤한가
10장 실력주의에 뿌리 내린 사회 통념
11장 CEO가 받는 급여에 숨겨진 메커니즘
12장 월스트리트가 받는 보상에 가려진 속임수
13장 중산층의 협상력 쇠퇴
14장 근로 빈곤층의 부상
15장 비근로 부유층의 부상
3부 대항적 세력, 소수가 아닌 다수를 위해 자본주의 구하기
16장 총정리
17장 자본주의가 받는 위협
18장 대항적 세력의 쇠퇴
19장 대항적 세력의 회복
20장 부와 힘의 상향 분배를 끝내자
21장 기업의 재구성
22장 로봇이 근로자의 일자리를 차지할 때
23장 시민의 유산
24장 새로운 경제 규칙
감사의 글
미주
찾아보기